도봉산 Y 계곡 답사산행
도봉산 포대능선 - 일부구간(Y계곡) 일방통행제 실시코스 답사 도봉산의 일부 구간이 2008년 10월 3일부터 국립공원 최초로 주말과 공휴일에 한하여 일방통행제가 실시되고 있다. 주중에는 일방통행제가 시행되지 않는 이 구간이 어떠한지 Y 계곡 코스를 다녀 왔습니다. Y 계곡의 위치를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하여 Y 계곡의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Y계곡 왜 인기가 있는가?
수도권의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수락산 등 명산 중에서 일반인에게 Y계곡만한 바위타는 코스가 없다. 그러다 보니 주말에는 평균 5000-6000명 정도가 Y계곡 코스를 통과한다고 한다.
Y계곡 무었이 문제인가?
이 구간은 바위에 한 줄로 쇠말뚝을 박아 철제 로프를 설치한 외길구간으로 수직구간도 있고 사람이 겨우 통과할 수 있는 좁은 구간도 있다. 발을 딛는 간격이 넓어 철재 로프줄에 매달려 발을 딛기도 한다.
일방통행제가 시행되기 이전에도 이 코스를 아는 사람이라면 묵시적으로 90% 정도가 포대능선에서 신선대방향으로 일방통행을 하여왔다. 반대 방향에서 오는 사람에게 그쪽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당당하게 말하기도 하였다.
Y계곡은 노약자나 어린이는 통과할 수 없지만 성인이라면 대부분 통과할 수 있는 구간이다. 15분 정도면 통과할 수 있는 구간을 주말에는 1-2간이 걸리기도 한다. 특히 점심시간을 전후한 시간대가 가장 혼잡하다. 외줄로 된 철재로프라 반대편에서 오는 사람을 비켜주기도 쉽지 않다. 그러다 보니 로프줄 바깥으로 통과를 하려고하니 매년 5-6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방통행을 한다면 그리 위험한 구간은 아니다.
이 구간은 평일에도 일방통행을 하여야 혼잡과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북한산국립공원관리공단에 발을 딛기가 힘든 몇 개 지점에 쇠말뚝이나 발판 추가를 제안한다. 그러면 통과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발을 딛기 힘든 지점에서 초보자들이 망설이다 지체되는 요인의 하나이기도 하다.
Y계곡 위치 모르는 사람 많아
|
|
|
|
|
|
|
|
|
|
|
|
안전사고의 원인 |
|
|
도봉산 Y 계곡 답사산행 |
|
도봉산 코스중 내가 좋아하는 코스는 다락능선-포대능선-주능선-오봉능선-주능선-보문능선 원점회귀 산행코스이다. 이 5개능선 코스는 도봉산의 기암괴석을 두루 살펴 볼 수가 있고 조망이 장쾌하여 능선산행의 백미이다. 5개 능선 산행코스 안내도
다락능선은 정상부의 선인봉, 만장봉, 자운봉의 암봉 전체를 가장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코스이고, 포대능선은 정상부 암봉과 능선 기암들의 전망과 Y계곡의 바위타는 맛이 일품이다. 신선대에 올라 주능선을 내려다보고 주능선을 타다 오봉능선을 타고 오봉에 도착하여 오봉을 내려다 본다. 오봉에서 주능선으로 다시 돌아와 우이능선 방향으로 내려가다 완만한 보문능선을 타고 하산한다.
오늘은 다락능선-포대능선-Y계곡 코스만 오른다. 12시에 도봉산역에 도착하여 산행을 시작한다. 오늘 산행은 주말과 공휴일에 한하여 일방통행제가 실시되고 있는 Y계곡의 주중 상황을 확인하고 Y계곡을 안내하고자 하는 목적이라 산행이라기 보다 답사산행이다.
탐방지원세터를 지나 광륜사 담끝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들어서면 다락능선 가는 길이다. 다락능선에서 뻗어내린 완만한 지능선을 따라가다보면 군데군데 아기자기한 바위들이 있다. 주중인데도 산행하는 사람들이 제법 많다. 이 코스를 타는 사람들은 대부분 Y계곡을 타는 사람들이다. 이 코스 중 바위가 있는 구간은 우회로가 있다. 그러나 우회로보다 바위를 타야 산행하는 맛이 있다.
Y계곡은 점심시간을 전후한 시간대가 가장 혼잡하다. 주중의 늦은 오후라 사람이 많지 않았지만 군데군데 반대편에서 오는 사람 때문에 지체되기도 한다. 저러다가 사고 날텐데...
Y계곡은 주중에도 일방통행을 권한다. 대부분의 등산객이 일방통행(90% 이상)을 하기때문에 신선대 방향에서 Y계곡을 통과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게된다.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주는 것은 산행예절에 어긋난다. 또한 비켜주기도 쉽지않고 대부분의 안전사고가 역방향에서 오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므로 생명이 소중하기 때문이다.
|
완만한 다락능선 가는 길의 위험구간 바위 |
|
|
|
|
|
|
|
|
|
Y 계곡 중간 지점 |
|
|
|
|
|
신선대 정상 부분 |
|
|
|
|
|
신선대에서 바라본 Y계곡(중간 낮은 구간) |
|
만추의 가을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