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박사
2010. 10. 19. 07:03
2010-11-21 충남의 금강 용봉산과 천년고찰 수덕사
홍성에 위치한 용봉산은 높이는 낮지만 주변 전경이 수려하고 기암괴석이 수석처 같다.
바위산 답게 기암괴석이 기기묘묘한 형상을 빚어 여느 명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다.
용봉산은 충남의 소금강이라 할만큼 암봉미가 뛰어난 멋진산이다
1973년 가야산(678m)·덕숭산(495m) 등과 함께 산 일대가 덕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덕산온천은 온양·도고 방면으로 이어지는 온천지대에 속한다. 온천수는 pH 8.7로 알칼리성이며, 규산·나트륨·칼슘·마그네슘 이온 등을 함유한다. 평균온도는 45℃이며, 5개의 천공(泉孔)이 있다.  하루에 1,500t 가량 용출된다. 목욕물은 물론 식수로도 이용되며, 류머티즘·부인병·소화기질병, 각종 피부병 등에 효과가 크다. 조선시대 이율곡도 효능이 탁월한 온천수로 소개했다

용봉사는 백제시대 때 창건됐다고 전하는 유서 깊은 사찰인데 절마당에 들어서면 고색창연해야 할 당우는 간 데 없고, 축대마저도 새로 쌓은 듯 회색빛이 선명하다. 알고 보니.. 용봉사도 2대에 걸쳐 황제가 배출된다는 가야사 절터에 남연군 묘을 이장하기위해 대원군에 의해 폐사된 가야사처럼 불태워진 수난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광무 9년(1905) 평양 조씨 일가가 명당으로 알려진 용봉사 터에 묘를 쓰기 위해 폐사시켰던 것이란다 다행히 절이 폐사된 것을 안타깝게 여긴 마을 주민들이 이듬해 원래 위치에서 동쪽으로 절을 옮겨 지어 법등을 겨우 이어갈 수 있었다고 한다. 닭 볏만도 못한 권력을 맹종하는 권력지향성과 자신의 이념 외의 것을 인정치 않으려는 사상적 폐쇄성이 민족의 문화유산이자 민중들의 귀의처였던 사찰을 훼철시킨 동력이었겠지요. 문뜩 진리를 바로보지 못하고 가야사를 불태운 대원군이나 용봉사를 폐사시킨 조씨 일가가 측은해진다 밑의 묵은 부도는 왕후장상에게 무상함을 일깨우는 수행자처럼 용봉사를 찾는 이들에게 진리의 영원함과 권력과 욕망의 속절없음을 가르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백제말 숭제법사가 창건하고 고려 공민왕 때 나옹이 중수했다고 하며, 일설에는 백제 599년에 지명법사가 창건하고 원효가 중수했다고도 한다.



 국보 제 49호 수덕사대웅전 석가모니 불상을 모셔 놓은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1308년)에 지은 건물로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수 있는 우리나라에서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다

대웅전 : 대웅보전이라고도 한다. 사찰의 중심이 되는 전당으로, 도력과 법력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삼세불좌상..대웅전 내부의 중앙에는 석가모니불 약사불 아미타불 등의 3세불 좌상이 봉안되어있다 이러한 3세불은 전란을 겪은 조선후기에 많이 나타나는데 사회 혼란과 무병장수을 염원하는 신앙




이 여관은 이응로 화백의 본 부인이 이화백에게 소박 맞고 평생을 홀로 외로이 지내면서 생계를 유지한 여관이지만 지금은 이곳 바위에 새겨진 이화백의 문자암각화만이 세인의 관심거리가 되고 정작 본부인의 한맺인 일생을 상기할 그아무것도 남아있지않는 아쉬움이 있다

1968년 이응로 화백이 동백림에서 끌려와 투옥되자 대전-전주 교도소로 따라다니면서 1년동안이나 옥바라지 한사람은 " 부모가 억지로 맺어준 사랑없는 결혼" 이라는 이유만으로 바로 자기가 일방적으로 버린 그의 본부인이자 수덕여관 주인이였던 것이다

출소후 그는 이곳에 "1969년 이응로 그리다" 라는 낙관을 새긴 암각화를 남기고 후처가 있는 파리로 훌쩍 다시 떠나
|

 |